KT 아이폰 공식 출시

warpdory의 이미지

나온다 안나온다 말 많더니 ... 결국 나오긴 나오는군요.

KT, 아이폰 28일 공식 출시...단말기 가격 '무료'

Quote:
KT(대표 이석채)는 애플의 ‘아이폰 3GS’를 오는 28일 공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KT는 쇼사이트(www.show.co.kr)의 공식 온라인 휴대폰 쇼핑몰인 ‘폰스토어’ (phonestore.show.co.kr)를 통해 온라인 예약을 받으며, 이 중 1000명을 뽑아 28일 오후 2시 잠실 실내 체육관에서 열리는 공식 론칭 행사에 초대한다.

... 후략 ...

가격은 .. 무료폰도 있기는 한데, 기본요금이 ... 장난아니군요. 데이터 요금은 다 받겠다는 내용으로 보이는군요. 히유 ...

보다 자세한 건 .. http://phonestore.show.co.kr/handler/N2

warpdory의 이미지

아이폰, 연간 기본료 54만~114만원 든다

Quote:
... 전략 ...

업계 한 전문가는 "아이폰 판매가격이 가입 요금제에 따라 차등화되면서 소비자입장에서는 착시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며 "당장 아이폰 구입가격 보다는 약정기간동안 지불해야하는 요금수준이 대다수 가입자들에 부담스럽다는 점에서 아이폰 판매가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건 요금이 .. 요금이 아닌 .. 덤태기 ...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http://akpil.egloos.com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freestyle의 이미지

----------------------
Go to the U-City

----------------------------------------------------------------------------------------
Don't Feed the Trolls!
----------------------------------------------------------------------------------------

freestyle의 이미지

핸폰은 요금제 제일 싼 걸로 이동하고...

뭐 친구 3명 중 한 명은 아이폰 3GS 들고 다닐테니 그 때 같이 구경해야죠 ^-^
----------------------
Go to the U-City

----------------------------------------------------------------------------------------
Don't Feed the Trolls!
----------------------------------------------------------------------------------------

송효진의 이미지

iphone 3GB 요금 95,000원
wibro 30GB 요금 27,000원

http://www.show.co.kr/index.asp?code=WC00000

emerge money
http://wiki.kldp.org/wiki.php/GentooInstallSimple - 명령어도 몇 개 안돼요~
http://xenosi.de/

c0d3h4ck의 이미지

아이폰이 나오는 것 만으로 타 통신사들의 요금제가 달라지고
WIFI 달린 폰들이 마구 나오는걸 보면서 간만에 속 시원함을 느낍니다.

byunghoon의 이미지

이게다.. Show 때문 입니다.

cwryu의 이미지

기기 가격과 요금 조합은 해외보다 크게 다르지 않고, 그 정도 요금을 내는 사람들은 꽤 있으니 넘어갈 만 한데..

데이터가 무한이 아니라는 게 차이군요.

freemckang의 이미지

제 시야가 좁아서 그럴 수도 있는데... 제가 느낀 것은 "KT가 전부 양보했군" 정도입니다. 물론 애플에게"만".

원래 아이폰 공식 출시를 기다렸던 이유는 양질의 app들을 좀 더 손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남과 동시에 통신업체들이 단말기를 조정하는 기형적인 구조의 개선이었는데요...

시작부터 만족스러울 수는 없겠습니다만 글쎄요... 뭔가 제가 기대했던 것의 10%도 안되는 느낌이군요.

제 시야가 좁아서 그렇겠죠? 달라질만한 것들이 뭐가 있을까요?

句日新, 日新 日新 又日新.

句日新, 日新 日新 又日新.

달리나음의 이미지

요금제 부분은 아쉽습니다. AT&T와 소프트뱅크의 성공요인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가 포함이 되어 있었는데 이 부분을 KT가 간과한 것 같습니다. (뭐 저렴해도 실 지불액이 한국 기준으로 7만원대지만요.)

그래도 네스팟이 무료인 것은 희망적입니다. 공지와 같이 "한시적인 이벤트"가 될지 아이폰 구매자에게 영구한 "이벤트"가 될지 문제일 듯 하네요. 네스팟 문제만 잘 해결되어도 제일 싼 요금제로 옮겨갈 수 있겠죠.

chirho의 이미지

2005년 내 인생의 전환점.

2005년 내 인생의 전환점.

sangheon의 이미지

한국에서 옴니아 2를 가지고 2년 동안 저정도의 데이터와 통화량 서비스를 SKT에서 받는 것으로 가정해서
요금 계산하시면 아이폰 싸게 나왔다는 생각이 절로 드실 겁니다.

단순히 한달에 30분 정도 통화만 하고 데이터 안 쓰는 지금의 금액이랑 비교하시면 당연히 비싸죠.

PS> 외국 무제한 요금제에 비하면 좀 아쉽기는 합니다만 적어도 국내 기준으로는 비싼 건 아닙니다.

--

B/o/o/k/w/o/r/m/

--

Minimalist Programmer

cjh의 이미지

데이터 무한이 아쉽긴 하지만, 미국에서 아이폰 쓰는데 제가 가장 많이 썼을때 데이터통신 전송량을 보니
한달에 400Mbyte 가량입니다. 이것도 휴가가서 무선 연결 안되는 상황에서 각종 데이터 썼을때이고...
그렇다면 적당한 요금제 아무거나 골라잡아도 될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물론 이건 집과 회사에서는 무선으로 연결되었다는 가정 하에서 그렇고요. 우리나라처럼 웹사이트가
heavy한 경우 (저는 데이터통신은 주로 각종 app에서 주고받는 데이터, activesync로 받는 회사 메일,
imap으로 gmail, 웹사이트는 주로 google 만 들어가니까 꽤 가벼운 편일지도)에는 더 늘어날지도
모르지요. 물론 iphone에서 제대로 연결 안되는 경우가 많으니(홈쇼핑 같은 경우) 쓸모가 없을지도
모르겠지만...

--
익스펙토 페트로눔

--
익스펙토 페트로눔

HongiKeam의 이미지

KT 공식 트위터에서 언급했다고 하네요.

----
God take what you would.


----
God take what you would.

달리나음의 이미지

내년에 와이브로 무료 + 네스팟 무료 + 5000원당 500메가 바이트의 요금제가 신설된다더군요. 5000원이 500메가 1만원이 1기가 1.5만원이 1500메가 식입니다. 아이폰에도 적용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cwryu의 이미지

아이폰 떡밥과 함께 도는 바람에 와전되어 있는데요. 이번 달 부터 이미 신설되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100/500/1000이라는 부가 서비스입니다. 기본 요금에 추가하는 것.

스마트폰에서는 다 사용할 수 있는 요금제이고 5000원이 500메가가 아니라 100메가이고, 10000원이 500메가, 15000원이 1기가입니다.

sangheon의 이미지

아이폰에서는 선택 불가능한 요금제나 마찬가지입니다.

해당 요금제를 쓰시려면 아이폰을 제값주고 사셔야 합니다. 가격이 좀 후덜덜하죠.

--

B/o/o/k/w/o/r/m/

--

Minimalist Programmer

mycluster의 이미지

그나마 SKT나 LGT 덕분인지는 몰라도, 아이폰에서의 무선 인터넷은 "네스팟"에서만 되는 것이 아니라는게 다행이군요.

KT의 궁극의 목표는 전국의 모든 SHOW 무선인터넷은 "네스팟에서만" 가능하도록 바꾸는거죠...

참고로 와이브로 50기가 정액제를 쓰고 있는데, 집에 유선 인터넷이 없는 상태에서 이짓저짓 일반적으로 사용하면 대략 10~15GB 정도 나오더군요. 아마 Wi-Fi 아닌 상태로 인터넷 줄창 하면, 1GB는 가뿐하게 넘어갈 듯...

버스에서 웹만 보고 하는데도 OZ 인터넷 사용량이 매월 600MB 정도 나오는걸로 봐서, 1GB 넘기는 것은 일도 아닐 듯 하네요.

그리고, KT가 제공한다는 네스팟 무료 아이디가 집에서 사용하는 메가패스 아이디인가요? 아니면 "네스팟팝" 인가요? 와이브로 가입해도 네스팟 아이디는 무료로 준다고 되어 있는데, 이건 분명히 "네스팟팝"이라서 일반 네스팟 AP에는 접속불가능이고, 단지 스타벅스 등에 있는 공용 AP에만 접속가능하거던요.

KT 하는 꼴을 봐서는 분명히 네스팟팝일건데...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달리나음의 이미지

네스팟에서만 가능하게 한다는 것은 처음 들어보는 것이군요. 출처가 있습니까?

PS: 그리고 적어도 SKT보다는 KT가 훨씬 낫다고 생각합니다.

mycluster의 이미지

http://kldp.org/node/109517

이 쓰레드 따라 가보면, 몇가지 기사 링크가 있는데, KT가 진짜로 하고 싶었던 것이 뭔지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그 외의 개인적인 출처는 그냥 그러려니 하시면 됩니다.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mycluster의 이미지

LGT가 오즈옴니아를 출시하면 걔가 제일 경쟁력 있지 않을까요?

아이라이트가 200분/0.5GB 에 4만5천원, 오즈360이 360분/1GB 에 5만1천원
아이미디엄이 400분/1GB에 6만 5천원, 오즈480이 480분/1GB에 6만1천원

이정도면, 오즈에 옴니아2로 와이파이+오즈+통화료가 가장 나을 듯...

LGT는 여기다가 인터넷070 존만 전국에 좀 만들어주면 네스팟+아이폰은 맥마니아 들만 사는 물건으로 만들 수 있을 듯 하네요.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